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반항적인 10대와 함께 청소년기의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는 부모님들 많으시죠? 이 험난한 여정을 통해 자녀를 바람직한 길로 인도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아래에서 10대 청소년 자녀가 반항하는 이유와 부모의 대처행동 5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항하는 이유
10대의 뇌는 대대적인 변화의 과정을 겪는 중인데, 이를 전두엽 발달(또는 시냅스 가지치기)이라고 합니다.
전두엽이나 시냅스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 쉽게 말하면 두뇌가 진화하고 있다는 뜻인데, 항상 순조롭지만은 않습니다. 반항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대체 왜 저럴까?
아이들의 전두엽이 발달 과정 상 아주 활발하게 활성화되며 발달 중이기 때문에 충동조절과 의사결정에서 많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10대 청소년기 아이들은 '내가 왜 태어났으며, 누구인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정체성을 탐구하고 독립을 위해 열정적으로 갈망합니다. 그래서 권위적인 대상이나 환경에 도전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대처행동
부모의 발작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게되는 우리 자녀의 행동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침착함 유지
압박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세요. 심호흡을 합니다. 내 자녀의 이러한 행동을 특별하고, 심각하고 아주 개인적인 것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주 정상적인 발달에 적절한 행동이며 동일한 연령의, 성별의 아이들이 보편적으로 보이는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조급하고 혼란스러웠던 부모의 마음도 가라앉게 됩니다.
적극적 경청
요즘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들이 있으시죠. 늘 말씀하시는 공통되는 피드백이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공감하고 경청하도록 합니다. 마치 내가 이 순간 만큼은 치료사가 된 것처럼 반응하셔야 합니다.
끙끙거리거나 아이들에게 주도권을 빼앗는 등 권위를 잡으려는 노력보다는 진정으로 자녀에 대해 관심 있다는 태도로 자녀가 단음절, 아주 짧게 또는 비언어적으로라도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반응에 긍정적으로 보답을 표시합니다.
인내 및 기다림
자녀와 감정적으로 교류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있으며 늘 도와줄 준비가 되었다는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취조하듯 질문하지 않고 충분히 기다림, 인내를 통해 행동으로 보여주도록 합니다.
협상 전략
전문가처럼 자녀와 협상을 합니다. 예를 들면, 저녁식사를 할 때에도 아이들에게 저녁을 먹을지 말지에 대한 선택권이 아닌 어떤 저녁메뉴를 먹고 싶은지에 대해 선택권 넘겨줍니다.
자녀가 상황이나 사건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가지게 하고 자신의 선택과 그 결과에 대해 책임감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더이상 그 선택에 대한 개입은 지양합니다.
경계설정
명확하지만 유연한 경계를 설정합니다. 큰 틀에서는 구조가 필요하지만 그 안에서 사소하거나 예외적인 일들의 경우에 충분히 서로 조율 가능하도록 합니다. 그 과정에서 자녀와 부모의 유대감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자녀가 납득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칙을 설정하고 그 규칙 뒤에 숨어있는 이유를 설명하여 무조건적인 지시에 순응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이들이 억압감을 느끼지 않고 부모의 규칙을 더 거부하지 않고 따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청소년기 자녀들이 이렇게 반항행동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사랑과 격려, 지지는 필수적입니다. 연령에 적절한 애착을 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개입을 최소화할 것, 지시 최소화하며 그에 따른 이유 설명하기, 공감 및 경청하기, 너무 진지하기보다는 유머를 적절하게 병행해서 부드럽게 상황을 진전시키는 게 필요합니다.
청소년기는 아주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부모와 자녀 모두 순조롭게 보내서 자녀가 성인이 되어서도 따뜻한 가정생활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